NVMe SSD의 동작 버전과 배속 확인하기
NVMe SSD의 동작 중인 PCI-e 버전과 동작 배속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
NVMe SSD를 사용하는데 SSD 불량이 아니지만 표기된 속도보다 낮은 성능이 나올 때 확인해 볼 만한 내용입니다.
NVMe SSD는 PCI-Express 라인을 사용해서 동작하는 SSD로 보통 더 높은 버전의 PCI-e를 지원할수록 더 좋은 성능을 내게 됩니다.
PCI-e는 최대 16배속을 지원하지만 현재 일반 유저용 NVMe SSD는 4배속까지 지원하고 일부 구형 SSD의 경우 2배속까지 지원을 합니다.
낮은 속도에 맞춰서 동작을 하기 때문에 PCI-e to M.2 MVMe 어댑터를 사용해서 8x, 16x 같은 더 높은 배속에 연결해도 실제 4x로 연결돼서 동작을 하게 됩니다.
메인보드에 M.2 단자가 여러 개인 경우 단자 위치에 따라 PCI-e 지원 버전이나 배속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M.2 NVMe SSD의 최대 성능을 내게 하기 위해서는 매뉴얼을 참고해서 설치를 해야 합니다.
만약 PCI-e 3.0 x4 지원의 SSD를 PCI-e 2.0 x4에 연결하면 2.0 버전 대역폭의 한계로 속도가 2000MB/s를 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주게 됩니다.
NVMe SSD를 구매하고 불량 여부와 성능 확인을 위해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돌렸는데 성능이 낮게 나온다면 연결된 PCI-e의 버전과 배속을 확인해 보면 좋겠습니다.
여기서는 다른 툴 없이 윈도우에서 확인하는 방법과 외부 프로그램(크리스탈 디스크 인포)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※ 윈도우에서 NVMe SSD 동작 버전과 배속 확인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7jMi/btrwagx58OV/TER2qd70eXFh6TUl2ZbyoK/img.png)
'장치 관리자'를 검색해서 장치 관리자를 실행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j2HF/btrwdk0AXT3/kpFNLI7eDFKXPZsZGQxDdk/img.png)
장치 관리자 창 스샷입니다.
저장소 컨트롤러 -> 'Standard NVM Express Controller'를 더블 클릭해서 속성 창을 엽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hm7c/btrv06DHvXY/cXuIf2YwCvElcrKSJCGJJk/img.png)
Standard NVM Express Controller 속성 창이 나오면 자세히 탭으로 이동합니다.
여기서 속성 항목을 선택하면 NVMe SSD의 연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tjES4/btrwahqfjVw/0SdKjatVPBdn4DDjv3YWT1/img.png)
'PCI 현재 링크 너비'를 선택합니다.
여기에 표시되는 값이 실제 연결된 PCI-e의 배속입니다.
1배속은 00000001, 2배속은 00000002, 4배속은 00000004로 표시됩니다.
스샷은 00000001 즉 1배속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나와 있는데 PCI-e to NVMe 어댑터를 사용해서 PCI-e 1배속 슬롯에 연결했기 때문입니다.
정상적인 연결이라면 4배속인 00000004(구형은 2배속인 00000002)가 나와야 합니다.
만약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4배속으로 표시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AJu2z/btrwaEeu4u5/mEeXV3ajQEerrEEMhDKA1K/img.png)
'PCI Express 사양 버전'을 선택한 스샷입니다.
위 항목에 표시되는 값이 현재 연결된 PCI-e의 버전입니다.
PCI-e 2.0은 00000002, PCI-e 3.0은 00000003, PCI-e 4.0은 00000004로 표시됩니다.
스샷은 PCI-e 2.0에 연결했기 때문에 00000002로 표시되어 있습니다.
M.2 단자 별로 지원 버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자별 정확한 버전 정보는 메인보드 매뉴얼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m2ie/btrwaD0SBFa/ARsKagRWoKzrKcCbqgHFp1/img.png)
추가로 'PCI 최대 링크 너비'를 선택해 봤습니다.
위 항목은 실제 연결이 아닌 NVMe SSD가 지원하는 최대 연결 배속입니다.
스샷은 00000004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4x 연결을 지원하는 SSD 임을 알 수 있습니다.
※ Crystal Disk Info를 사용해서 NVMe SSD의 연결된 버전과 배속 확인하기
https://crystalmark.info/en/software/crystaldiskinfo/
△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 공식 페이지입니다.
위 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푼 뒤 실행합니다.
포터블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설치 없이 바로 실행이 가능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II84/btrv9KsHzbU/FHx6uwiiJxG0hQOuYTOxZ1/img.png)
크리스탈 디스크 인포가 실행된 스샷입니다.
여러 항목 중 전송모드를 확인하면 됩니다.
앞부분이 현재 연결된 상태의 정보이고 뒷부분이 SSD가 지원하는 사양의 정보입니다.
스샷은 PCIe 2.0 x1이라고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PCI-e 2.0버전의 1배속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뒤에는 PCIe 3.0 x4라고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SSD는 PCI-e 3.0 4배속을 지원함을 알 수 있습니다.
※ NVMe SSD 연결 버전과 배속이 낮게 나올 때 확인사항
- NVMe SSD가 2x까지만 지원하는지 확인하기
-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 : 연결한 PCI-e 단자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기
- M.2 소켓 핀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
- SSD가 M.2의 소켓에 바르게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기
- SSD의 접촉 핀 바로 위의 작은 소자들이 탈락해 있는지 확인하기
NVMe SSD는 기본적으로 성능이 좋아서 낮은 버전과 배속에 연결해도 체감상 제 성능이 안 나오고 있는 것을 느끼지 못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.
SSD가 최대 성능을 내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꼭 처음 설치 후 벤치마크를 해보는 것이 좋고 결과가 이상하다면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